Hero Image
2025-08-01

하루 일지 기상 / 숙면 시간 11시 쯤 잠들었다. 9시 쯤 일어났다. 업무 및 공부 퇴사 및 백수 1일차이다. 일주일 동안 공부를 하지 않았다. 반성 또 반성. 내일은 무조건이다. 이외의 생각 아침에 일어나 서울 어디론가 나들이 다녀와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인스타에서 보았던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가 보고 싶었다. 평일이기도 하고, 박물관 자체가 인기가 없지 않을까 싶어 여유롭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아뿔싸, 사람이 너무 많았다. 방학이라 그런지 아이들과 부모님들도 많았고, 커플들도 많았다. 도대체 왜? 라는 생각이 머리를 지배했는데, 관광객 급증 이유가 ‘케이팝 데몬 헌터스’랑 연관이 있다는 뉴스 기사를 돌아와서 확인했다. 지나가면서 직원 분이 하루에 몇 만명 이상 온다고, 너무 힘들다고 하는 얘기를 들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내 기억상 고등학교 1학년 때 이후로 처음 가본 것 같다. 그때는 수행 평가 때문에 친구들과 함께 갔었는데, 그때와는 사뭇 다른 느낌이었다. 전시관이 뭔가 더 좁아진 느낌이었고, 전시물도 예전보다 훨씬 적었다. 2층에 “사유의 방"이라는 전시관이 있었는데, 그곳은 방 하나의 딱 하나의 전시물만을 두어서 일종의 예술 작품처럼 꾸며놓았다. 인스타에서 본 것이 바로 그 전시관이어서 기대가 컸는데, 사람이 너무 많은 탓에 그 매력이 잘 느껴지지 않았다. 1층은 우리나라 역사 전반을 담은 전시관들이 나열되어 있었고, 2층은 문화물 및 기증품이 전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3층은 전세계 문화유산을 전시하는 곳이었다. 나는 사람들을 피해서 3층을 주로 관람하였는데 전시관 전반적으로 쉼터 같은 공간을 많이 만들어 둔 것이 인상적이었다. 그렇지만서도 쉴 곳에는 사람이 항상 있어서 박물관 전체를 다 구경하기에는 체력적으로 힘이 들었다. 날씨가 더운 게 특히 힘들었다. 특히 음료 섭취가 힘들었다. 정수기 물은 미지근하고 카페에는 줄이 너무 길어서 들어갈 생각도 못했는데 한 두 세시간 쯤 관람하면서 가장 필요했던 것은 시원한 물 한 잔이었다. 그래서 결단을 내린것이, 근처 용산 아이파크 몰에 가서 좀 시원하게 노는 것이었다. 저번 주 친구들 만났을 때 가려고 했던 팀호완 이라는 음식점에서 점심을 먹었다. 만두 집이었는데 가격 대비 만족감이 너무 떨어져서 실망스러웠다. 차라리 옆에 있던 쉑쉑버거를 먹을 걸 그랬나 싶었다. 점심을 먹고 나서 아이파크 몰을 돌아다녔는데, 도파민스테이지 라는 곳이 있어 거기를 돌아다녔다. 해리포터 팝업 굿즈샵에서 조그만한거 2개 정도 사고, 키보드 가게 가서 키보드 키캡 구경하고, 마지막으로 유튜버 와인킹이 하는 무료 시음 이벤트가 있어서 참여해 열심히 술을 마시고 다녔다. 시음 용 와인은 정말 찔끔찔끔 나오긴 했지만, 그래도 저렴하면서도 다양한 와인을 마셔볼 수 있어서 좋았다. 나는 화이트와인보다는 레드와인을 선호해서 레드와인 위주로 마셨고, 예상하지 않던 큰 지름신을 … 만나버렸다. 그리곤 체력이 다 소진되어 버려서 집으로 돌아왔다. 퇴근길 1호선 시간대였기 때문에 사람이 많았고, 이제 내가 겪을 지옥의 시작이구나 싶었다. 이런 더운날에는 손풍기가 필수가 아닐지 싶다. 쿠팡에서 바로 주문했다.

Hero Image
2025-07-21

하루 일지 기상 / 숙면 시간 새벽 2시에 잠들었다. (강철의 연금술사 때문에 … ) 아침 7시 15분에 일어났다. 업무 및 공부 퇴사 선언을 한지 일주일이 지났다. 지난 일주일 동안은 인수인계를 위한 자료 정리를 수행했다. 오늘은 새로운 직장에서의 폐쇄망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vscode 의존성을 줄여보자 했고, 예전부터 찾아보던 nvim을 구축해보는 연습을 했다. space 바를 기반으로 창을 키고 닫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인 부분이고, 내 나름대로의 키 바인딩도 가능한 것 같다. 그리고 golang 등의 개발에서 유용한 플러그인이 많다는 점에서 잘만 세팅해놓는다면, vscode 보다 훨씬 가볍고 편한 에디터가 될 것 같다. go wails 를 살짝 조사해봤다. 가볍게 사용할 만한 프로그램 몇 개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가장 첫 번째 아이디어는 쿠버네티스 매니페스트 쉽게 만들기 툴이다. vue.js 를 사용할 건데, 예전에 하던대로 primevue 까지 얹을 예정이다. 다만, golang 과 프론트엔드가 엮이는 부분을 어떤식으로 구현 하는지가 조금 궁금하다. 일반적인 로직은 자바스크립트 수준으로도 구현할 수 있지 않은가 싶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외의 생각 내일은 오후 반차인데, 꽤 바쁜 하루가 예정되어 있다. 우선 이직 확정된 곳을 한 번 들렸다가 돌아와야 한다는 점에서 쉽지 않을 여정인 것이 첫 번째요, 중간에 한 시간 정도 화상 면접도 잡혀있다. 날이 확실히 덥다. 목요일을 장비 반입을 위해서 적어도 내일은 컴퓨터를 주문해놓아야 한다. 25년… 왜 이렇게 빨리 흘러가는지 원망스럽다.

Hero Image
2025-05-22

하루 일지 요약 기상 / 숙면 시간 새벽 1시에 잠들었다. 7시 반에 일어났다. 업무 및 공부 .. KCD 세미나를 다녀왔는데 두 세션 정도가 기억에 남는다. KT Cloud의 OVN으로 오픈스택과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레이어를 통합한 내용과 현대차그룹의 ClusterAPI를 커스텀 하여 OpenStack 과 Baremetal에 함께 K8s를 배포하는 방법에 대한 세션이었다. OVN은 전날 밤에 모종의 이유로 열심히 개념을 공부했는데, 언젠가 실제로 Kube-OVN을 사용해보는 실습을 하고 싶다. 더 관심이 생긴 부분은 Open vSwitch와 openflow에 대한 부분이다. 문서라도 읽어봐야하나? ClusterAPI는 오픈스택과 Baremetal에 K8s를 배포하는 방법을 설명했는데, 이 세션도 내게 오퍼레이터 패턴에 실제로 익숙해져야 한다는 자극을 주었다. gpt가 준 토이 프로젝트 아이디어 중 하나는 자체 인증서의 자동 갱신 프로젝트였다. 도전해보려 한다. 세션이 인상 깊은 것은 아니었는데 Helm Chart 관련 발표를 진행하신 삼성 SDS 쪽의 연사 분은 인상이 참 좋으셨다. 나쁜 발표로 판단된 몇몇 세션도 있었다. 반면교사로 삼아야겠다. 기술의 더 심연을 계속 파고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기초적인 부분에서! 유데미 강의를 더 자주 빠르게 듣자 FRR을 통한 네트워크 실습을 방법을 찾아보자. 라우터 설정 실습을 위한 커스텀 리소스 등을 아예 오퍼레이터 패턴으로 확장할 수 도 있지 않을까? 이외의 생각 5월이 빠르게 지나가고 있다. 세미나 장소의 의자가 너무 불편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1호선에 너무 시달리고, 또 지하철 안에서 너무 고통받기도 했다. 앉아 있는 지금도 발바닥이 쑤시다. 목이 타기도 하는데, 이건 저녁을 짜게 먹어서 그런 것 같다. 세미나를 보며, 작은 규모의 모임이더라도 뭔가 나도 발표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발표 할 게 없어서 그렇지만서도. 집와서 어어 하다보니 벌써 9시다. 오늘 추가 공부는 못할 것 같다.

Hero Image
2025-05-21

하루 일지 요약 기상 / 숙면 시간 어제는 11시 20분에 잠들었다. 오늘은 6시 40분에 일어났다. 일어나서 뉴스를 틀었다. 업무 및 공부 ..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책 진행을 못했다. 대신 대규모 데이터 센터에서 오픈스택 클러스터를 어떤 식으로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했다.( gpt와 대화하면서 … 신뢰성은 모르겠다 ) 컨트롤러 / 네트워크 / 컴퓨트 / 스토리지 영역을 나누는 것은 기본이다. 랙 4대에 각 서버 10개씩 넣는다고 가정했다. 각 랙 상단에 2~3개의 리프 스위치를 둔다고 생각했다. 각각 퍼블릭, 관리, 스토리지 용도이며, 이더넷 망에서 VLAN 혹은 VRF로 나눌 수 있다. 다만, 실전 경험이 없기 때문에 정말 이런 식으로 구성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스파인 스위치와 리프 스위치 연결은 25G로 구성하고, 리프 스위치와 서버 연결은 10G로 구성한다. 스파인 스위치는 경계 스위치(Border Switch)와 또 연결되어 있으며, Border는 이중화된 라우터(R1/R2)와 연결된다. 이중화된 라우터는 방화벽, 로드밸런서, 외부 BGP 피어 등을 바라보고 있으며, 결국 외부와의 통신 관점에서 네트워크 출입구 역할을 한다. 컨트롤러 서버는 HA 구성을 위해 3대로 구성한다. 여기에는 API,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큐, 스케줄러, OVN-Northd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컴퓨트는 총 20대로 구성하고, 각각 듀얼 소켓 기반 CPU (56vCPU 수준)와 256~384GB RAM 정도를 가정했다. Overcommit 비율은 CPU 2:1, RAM 1.2:1 정도로 잡으면 c2m4 스펙(2vCPU / 4GB RAM) 기준으로 대당 약 50~60대 정도의 VM을 안정적으로 배포할 수 있다. 전체 Compute 용량 기준으로는 약 1,120대의 VM을 수용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Ceph를 가정했고, 10대의 OSD 서버에 12TB HDD 12개씩 구성했다. 이를 기준으로 총 raw 용량은 1,440TB이며, 3중 복제를 기준으로 usable 용량은 약 480TB 정도가 된다. 이를 기반으로 하면 VM당 평균 약 400GB 가량의 블록 스토리지(RBD)를 할당할 수 있고, 운영 시에는 스냅샷, 백업 등을 고려하여 300~350GB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Ceph OSD 서버는 16~24코어, 128~192GB RAM을 가진 중급 이상의 스토리지 노드로 설정하며, 1 OSD당 약 1.0~1.5 vCPU, 4~6GB RAM이 필요하다는 Ceph 가이드라인을 참고했다. 따라서 서버당 12개 디스크 구성이라면 12 OSD 기준으로 16코어는 가능한 하한이며, 여유를 두고 설계한다면 24코어가 더 적절할 수 있다. 나머지 7대는 네트워크/인프라 영역으로 분류되며, 모니터링, 로깅, 메트릭 수집, 배스천 서버, CI/CD 엔진, RadosGW, 백업 노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제 운영 시에는 이 노드들이 가볍게 보이지만, 지속적인 로깅, 리텐션, 메트릭 수집이 클러스터 전체 성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독립 배치가 바람직하다. OVN 사용을 기본으로 생각했고, NS 트래픽은 BGP/EVPN 등을 고려하고, EW 트래픽은 Geneve를 고려했다. EW 쪽에서 SR-IOV/DPDK 도 옵션이라 하는데, 조금 난이도가 있게 느껴진다. 그래서 이런 구성에서 실제 스위치, 라우터 설정을 어떻게 해야하는 것일까 … 라는 어려운 숙제를 가지고 있다. 내일은 KCD 2025에 참석하기 위해서 대강 8시 30분에 출발해야 한다. 이외의 생각 더워진다. 저녁 먹을 때 너무 덥고 꿉꿉해서 선풍기를 꺼냈다. 아직 청소가 안 된거라 찝찝하긴 했는데 더운 건 참을 수 없었다. 밥 먹을 때 보통 윈도우 컴퓨터로 유튜브를 보는데, 오늘은 무슨 날인지 컴퓨터가 갑자기 죽어버렸다. 허탈한 마음으로 본체 분리해서 전원선 뽑고 다른 곳 가서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연결하니 잘 켜졌다. 이게 뭘까 … 전원 공급이 불안정한건지, 아니면 다른 문제인지 모르겠다. 컴퓨터 분리한 김에 청소도 하고, 구조도 바꿨다. 책상 위의 메인 컴퓨터를 옛날 맥북으로 바꿨다. 이제 좀 더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되지 않았을까 …

Hero Image
2025-05-20

하루 일지 요약 기상 / 숙면 시간 어제는 11시 30분에 잠들었다. 오늘은 7시에 일어났다. 눈은 6시에 뜨긴 했었는데 더 자고 싶었다. (가짜 졸림 아닐까?) 업무 및 공부 .. 솔루션 상태 검증 스크립트를 가이드와 함께 제공 해야한다. 이상한 요구사항과 함께 …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책 10.9.1 까지 읽었다. 멀티캐스트 라우팅 파트가 너무 어려웠다. 그리고 약간은 디테일이 부족한 것 같다고 느낀다. 이론 보강과 실습이 추가되어야 할 것 같다. 운영체제 책을 중간 중간 끼어서 읽어야 하는데 너무 소홀하다. 대신 오늘은 유데미 강의를 산책하면서 들었다. 영어 리스닝 연습 겸으로. 뭔가 팟캐스트 듣는 느낌이라 좋은 것 같다. 이외의 생각 주말과 월요일 일지가 없는 것은, 집에서 노트북을 열지 않았다는 뜻과 같다. 주말에는 열심히 놀았다. 스타워즈 드라마 안도르 시즌2를 정주행 했다. 로그원과 안도르의 매력은 스타워즈 세계관을 잘 살리면서도, 그 세계관에 얽매이지 않는 점이다. 나는 작품만의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아주 높게 산다. 특히 시즌 1과 2 모두 “민중의 봉기"를 표현하였는데, 두 장면의 설정상 독립성과 연관성이 매력적이었다. 어제 저녁은 오랜만에 직접 요리를 했다. 그 때문인지 뭔가 별로 한 것도 없는 것 같았는데 시간이 많이 흘렀었다. 회사에서 있는 시간이 줄고, 좀 더 나만의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다시 몸이 무거워지고 살이 찌는 것 같아서 위기감을 느끼고 러닝을 시도했다. 역시 오랜만에 뛰니까 별로 못뛰었다. 대신 걸었다. 집에서 안양천을 따라 회사 방향으로 왕복하면 대강 5km 정도 된다. 벌레가 많아서 마스크를 써야하나 고민이다. 내일도 오늘과 같을 수 있을지 … 하루가 짧다. 괴롭게 짧다. 성취감이 없다.

Hero Image
2025-05-16

하루 일지 요약 기상 / 숙면 시간 어제는 술먹고 1시에 잠들었다. 오늘은 7시 35분에 일어났다. 숙취에 괴로워하며 … 업무 및 공부 .. 앞으로 어떤 업무를 할 수 있는지(혹은 하고 싶은지) 요청하셔서, 정리해서 올려드렸다. 내 마음은 플랫폼 엔지니어링에 가까운 거 같다. 책 읽는 게 즐겁다.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책 6.8 까지 읽었다. 하지만 집에 오면 책을 펴는 습관이 잘 생기지 않는다. 환경의 어떤 부분이 문제인 걸까 고민 중이다. 이외의 생각 술은 안 먹는게 좋다. 밀린 집 청소가 필요하다. 밤에 “승부"라는 영화를 봤다. 이창호와 조훈현의 바둑 대결을 다룬 영화다. 예전에 유튜브에서 관련 다큐를 본 적이 있다. 그 영상에서 느껴졌던 사제 간의 불편한 기류가 영화에서도 잘 표현되었다. 특히 이병헌이 연기한 디테일이 대단했다. 영화 중반 이후에는 정말 조훈현을 보는 것 같았다. 영화의 미장센도 좋았다. 다만, “승부"라는 단어로 숨겨진 의미가 무엇일까? 승부는 단순히 이기고 지는 것인가? 이기고 지는 것에 대한 집착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가? 세상은 너무 1등만 기억한다. 요즈음, 더 나은 미래를 고민하는 나로서는 최고는 커녕 그 문턱조차 넘기지 못하는 현실에 고통스러워 하고 있다. 영화에선 결국 조훈현이 다시 타이틀을 하나 따내는 것으로 마무리 되지만, 그 장면이 지금에 나에겐 크게 위로가 되지 않았다. 최고들의 이야기에선 가르침이나 위로를 얻기 힘들다는 걸 느꼈다. 오히려 수 프레임만을 차지하며 바둑 해설을 경청하는 무수한 관중들에게 내 모습을 보는 느낌이었다. 그럼에도, 바둑은 자신과의 싸움 이라는 글귀 자체는 내게 경종을 울리긴 하였다. 오랜만에 다시 바둑을 두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근데 생각만 들었다. 나한테는 차라리 체스가 어울리는 거 같다.

Hero Image
2025-05-15

하루 일지 요약 기상 / 숙면 시간 어제는 12시 반쯤 잠들었다. 오늘은 7시 35분에 일어났다. 업무 및 공부 .. 오픈 스택 관련 글을 더 많이 써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https://www.linkedin.com/posts/daewon-kim-80b1076b_%EC%B5%9C%EA%B7%BC%EC%97%90-%EC%A2%80-%EC%A7%88%EB%AC%B8%EC%9D%84-%EB%A7%8E%EC%9D%B4-%EC%A3%BC%EC%85%A8%EC%8A%B5%EB%8B%88%EB%8B%A4-%EC%98%A4%ED%94%88%EC%8A%A4%ED%83%9D-%EA%B5%90%EC%9C%A1%EC%9E%90%EB%A3%8C%EA%B0%80-%EC%9E%88%EB%82%98%EC%9A%94-activity-7328298813931061249-XDuS?utm_source=share&utm_medium=member_desktop&rcm=ACoAAEQdiIYBKymviVGUosvzr4p4D_brz1ikTyg)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위한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구축 5장을 읽었다. 라우팅 관련으로 BGP와 OSPF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구체적인 이론적 내용은 아니었지만) 간단한 특징이 서술되었고, 데이터센터에서 어떤 라우팅 방식을 선택해야하는 지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BGP + EVPN 구성이 매력적인 것 같은데, 오픈스택 관점에서 OVN과 함께 동시 EVPN 활용이 가능한건가 궁금해졌다. gpt와의 대담에서는 아리쏭한 결과만 남았다. 6장이 네트워크 가상화 파트인데, 이 부분에서 약간의 해답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 중이다. 이외의 생각 어두컴컴했어서 그런지 눈을 떴는데 원래 8시 출근 기준으로 일어나던 시간을 조금 넘긴 시간이었다. 국방의 의무에서 벗어난 몸이 된 기념으로 한 시간 더 잤다. 비가 와서 긴 팔을 입고 나갔다.